티스토리 뷰

목차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하려고 하는데, 얼마까지 세금 없이 증여할 수 있을까요? 2024년에는 어떤 혜택이 있나요?”

     

    여러분,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할 때 증여세 면제한도와 절세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계신가요? 자녀의 미래를 위해 미리 재산을 증여하고 싶은데, 세금 문제로 망설이시는 분들을 위해 증여세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 절세 방법 )

     

     

     

     

     

     

     

    증여세 면제한도 (+ 절세 방법 )

     

     증여세 신고 

     

    증여를 받은 날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올해 7월 25일에 증여를 받으셨다면 올해 10월 25일까지 신고하시면 됩니다.

     

     

     

     

     

     

     

     

    신고 불이행 시 불이익

     

    신고 기한을 지키지 않으실 경우, 다음과 같은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기한 내 신고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무신고 가산세: 신고하지 않은 세액의 20%
    • 과소 신고 가산세: 적게 신고한 세액의 10%
    • 납부 지연 가산세: 납부하지 않은 세액에 대해 일일 0.022%

     

     

     

    증여세 계산 과정

     

    증여세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계산됩니다

     

    • 증여받은 재산의 가치 평가: 증여받은 재산의 시가를 평가하여 정확한 가액을 산정합니다.
    • 법정 공제액 차감: 증여재산 가액에서 법으로 정해진 공제액을 차감합니다. 여기에는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적용되는 10년 단위 공제액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과세 표준 산출: 1단계와 2단계를 통해 계산된 금액이 과세 표준이 됩니다.
    • 세율 적용: 과세 표준에 따라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세액을 계산합니다.
    • 최종 납부세액 결정

     

    증여세 면제한도 (+ 절세 방법 )

     

    자녀증여세 면제한도

     

    부모가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10년마다 5천만 원까지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이는 부모 각각에게 적용되므로, 부부가 공동으로 증여할 경우 총 1억 원까지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2024년부터는 자녀의 결혼 시 추가적인 혜택이 주어집니다. 기본 공제 5천만 원에 더해 1억 원이 추가로 공제되어, 결혼하는 자녀에게 총 1억 5천만 원까지 증여세 없이 증여할 수 있게 됩니다.

     

    증여자 대상 면제한도
    부모 1인 자녀 5천만 원
    부모 2인 자녀 1억 원
    자녀 결혼 시 추가 혜택 자녀 1억 5천만 원

     

     

    해외주식 자녀증여 방법

     

     

    자녀에게 해외주식을 증여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현금 증여 후 자녀 계좌로 주식 매수: 미성년 자녀 계좌에 2천만 원, 성인 자녀는 5천만 원을 증여 후 주식을 매수하면 증여세는 0원입니다.
    2. 부모가 매수한 주식을 자녀 계좌로 대체출고: 증여 기준 금액은 증여일을 기준으로 전후 2달, 총 4달 동안의 해당 주식 종가 평균으로 산정합니다.
    3. 자녀 계좌에서 펀드 매수 후 증여신고: 매달 일정 금액을 자녀 계좌로 이체하고 펀드를 자동 매수하여 증여 신고하는 방법입니다.

     

    증여세는 복잡해 보일 수 있으나, 기본 개념을 이해하시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정직하게 신고하고 기한을 지키는 것입니다.

     

    또한, 자녀에게 증여 시 주어지는 특별 혜택을 잘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세금은 우리 사회를 위해 꼭 필요한 것이지만, 동시에 법에서 정한 혜택을 현명하게 활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증여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이상으로 증여세와 자녀증여세 면제한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0123456789101112
    증여세 면제한도 (+ 절세 방법 )